발로뛰는 김대표 2007. 2. 15. 14:47
Oat(오트)란?

Oat(오트)는 전세계적으로 생산량면에서 밀,옥수수,쌀에 이어 4번째로 많은 1년생 작물이며,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에 소량이 강원도 및 산간지방에서 생산되었지만 지금은 거의 생산되지 않고있다.

곡물중에서 Oat(귀리)는 최고 양질의 단백질과 다량의 라이신 함량을 보기고 있으며, 식용으로는 예로부터 유럽과 미국인들의 아침식사용 프레이크와 아기들의 이유식, 그리고 빵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주요 생산국으로는 러시아,미국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이외에, 캐나다, 호주, 스웨덴, 노르웨이, 영국등 세계 각지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특히 oat 는 빵의 경우 양질인 불포화 지방산이 약 80%정도로 높고, 비타민B등이 높은 우수한 작물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영양가치 이외에 우수한 식이섬유(Soluble Fiber)의 베타그루칸(Beta-Glucan)이라는 물질이 많아 OAT(오트)에 대한 의학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건강보조식품으로 그쓰임새가 증가하고 있으며, 오트가 가지고 있는 영양적 가치가 알려지면서 오트(귀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오트는, 특히 단백질 함량이 다른 곡물과 비교하였을 때 함량이 매우높다. 아래표와 같이 오트의 라이신 함량이3.7%로 다른 곡류에 비해 다소 높은편이나, 다른 아미노산의 경유 함량이 비슷하다. 

Amino acid

oats (오트)

Wheat(밀)

Corn (옥수수)

Barly (보리)

FAO 기준

라 이 신

3.7

2.9 

2.7

3.5

4.2

히스티딘

2.1

2.3 

2.7 

2.1

-

아르기닌

6.3 

4.6 

4.2 

4.7

-

세레오나인

3.3

2.9 

3.6

3.3

2.8

트립토판

1.3

1.1

0.7

1.5

1.4

페닐라나인

5.0

4.5

4.9

5.1

2.8

바아레인

5.1

4.4

4.8

5.0

4.2

렉 신

7.3

6.7

12.5

6.7

4.8

이솔레유신

3.8

3.3

3.7

3.6

4.2

메시오닌

1.7

1.5

1.9

1.7

2.2

 오트(귀리)의 단백질이 다른곡물보다 높은 영양적 평가를 얻는 이유는 "globulin 내에 라이신함량이 Porlamine과 Glutein의 라이신 함량보다 높기 때문이다.(아래표참조)

곡물류(Cereal)

알부민
(Albumin)

글로블린
(Globulin)

폴라마인
(Porlamine)

글루테인
(Glutein)

Porlamine &
Glutein

 보리(Barley)

13.0

12.0

52.0

23.0

75

 밀  (Wheat)

3.5

10.0

69.0

16.0

85

 옥수수(Corn)

1.0

2.0 

55.0 

39.0

94

 쌀  (Rice)

5.0

10.0

5.0

80.0

85

 오트 (Oat)

1.0

78.0

16.0

5.0

21

곡류의 단백질 함량을 비교조사해 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

Cerea곡물류

단백질 함유량

(Protein %)

단백질체내이용률 

(Protein efficiency ratio)

보리(Barley)

11.0

1.7

 밀  (Wheat)

12.2

1.5

옥수수(Corn)

9.5

1.2

쌀 (Brown Rice)

7.5

1.7

오트 (Oat)

15.1

1.9

 

국내에서는 1995년 7월1일, 국내의 작물시험장에서 실험한 허화영 농업연구사에 따르면, 밀과  OAT(귀리)에 대한 주요성분 비교를한 표를 아래와 같이소개하면, 단백질 및 라이신,식이섬유 베타글루칸이 현저히 높게 함유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구분

총단백질(%)

라이신

(% 16GN)

트립토판(%/16GN)

식이섬유(%)

베타글루칸

(%/10GN)

칼슘 (%)

조지방(%)

밀 (WHEAT)

14.00

2.95

3.11

2.70

미량

40.00

1.50

오트밀(OATMEAL)

17.10

4.20

3.64

10.70

3.20

80.00

5.00

오트의 지방(fat)분포는 다른곡류와는 많은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곡류의 경우 지방의 거의 대부분이 배아층에 집중되어 있는데 귀리(오트)는 배아층외에 배아,배유 및 왕겨층에도 고루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Oleic acid와 Linoleic acid의 함량이 높으며,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1:2.2로 불포화가 높다.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최소 1:1의 비율을 권장하기 때문에, 1960년대 이후 동물성지방의 섭취가 감소하고, 반대로 식물성 지방의 섭취량은 증가 추세로 돌아섰다. 그외의 무기질은 가공방법 및 재배지역의환경, 재배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아래의 표는 한국인 영양권장량에 비교한 자료이다.

무기질

칼슘(mg)

 아연(mg)

나트륨(mg)

인 (mg)

 철(mg)

 비 고

함 량 %

55.0

3.77 

4.0

320.0

4.6

50%-30%

오트(귀리)의 식이섬유 함량은 약 10-15%로 쌀이나 가타 곡류보다 함량이 높다. 따라서 오트(귀리)를 섭취함으로써, 식이섬유섭취량도 함께 증가하게된다. 식이섬유는 장내의 유해물질의 흡착배설을 하여, 장청소부라고도 한다.

오트(귀리)의 식이섬유에는 최소 3%이상의 베타그루칸(B-GLUCAN)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에대한 의학계 및 신약개발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식이섬유란(Fiber)? 

식이섬유에는 수용성식이섬유( soluble fiber)와 불용성식이섬유(insoluble  fiber)로 크게 나누게되는데. 불용성식이섬유는 일반잡곡류(귀리,보리,현미,호밀,밀,조,등)에 함유되어 있고, 수용성식이섬유는 과일이나 채소등에 많이 함유되어있으며 이것을 섭취하면 장내의 유해물질을 흡착,배설하는기능을 갖고 있다. 현대의 급격한 외식산업의 도입으로 인한 기름진 음식과 영양의 불균형으로 인한 비만도가 높아지는 현 시점에서 식이섬유는 우리가 반드시 섭취해야만하는 필수성분이 되어, 그래서, 과거보다 잡곡, 과일 야채류등을 더 많이 섭취해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

베타클루칸이란(Beta-glucan)? 

식이섬유의 일종으로 특히 수용성식이섬유에 이있으며, 포도당 분가간에 B-13,16 - 결합을 이루는 고분자 물질로 B-13, 1-6-Glucan이라고도 하며, 미생물에서는 Aureobasidium sp.가 생산하기도하는 다당류의 일종이다. 기능은 다양하게 요약될 수 있는데 체내에 침입한 항원을 제거하는 면역세포와 Macrophage를 활성화시켜 감염을 예방 면역계를 활성화 시킨다. 그리고 Phagocytic cell 이 종양 세포를 제거할 때 cytokines를 분비하도록 자극한다. 그리고 강력한 항산화기능을 가지고 있어 체내에서 생성된 free radical을 제거하며, 산화반응으로 인한 세포손상을 막는다. 그외 여러기능이 있는데 특히 체내에 콜레스테롤 수치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Wheat (밀)이란?

밀(Wheat)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소비면에서 가장 으뜸이다.

특히, 식생활문화가 점차 서양화 되어 "밀"이 우리의 주식으로 탈 바꿈되고 있으나, 영양학 가치면에서는 오트밀에  비해 많이 떨어짐위의 표를 통해서 알 수 있다.

Oatmeal(오트밀)이란?

오트밀이란, 오트(Oats)를 경작, 수확한 곡물을 가공한 식품으로 유럽과 미국인들에게 인기있는 영양식으로 넓이 알려진 죽처럼된 식품이다(Oatmeal Porridge).오트밀포리지라고도 한다.

Oatmeal(오트밀)은 특히, 풍부한 단백질, 라이신, 식이섬유,칼슘등이 부족하기 쉬운 유아들에게는 가장좋은 영양식이며, 특히 식후 포만감등이 유아들에게 안정감을주며, 일정한 혈당을 "뇌"에공급하므로 활발하게 활동해야 하는 학생, 수험생, 회사원에게 인기있어 예로부터  미국과 유럽에서 아침대용식 으로 선호하고 있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오트(쌀귀리)의 모습

 
오트(귀리)의 구조


오트를 가공한 모습

(퀵오트밀)

   롤드오트밀을 가공한 "오트밀죽"